소득이 적은 가난한 계층에서 정도가 매우 심한 비만 환자가 더 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9일 건강검진 빅데이터(2002~2013년)를 분석한 결과, 국내 인구 가운데 '초고도비만' 환자 비율은 2002년 0.17%에서 지난해 2.9배인 0.49%로 높아졌다. 초고도비만은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MI)가 35(㎏/㎡)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소득 수준별로 살펴보면, 기초생활보장대상자 등을 포함한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지난해 초고도비만율은 1.23%(남 0.87%·여 1.57%)로 집계됐다.
반면 건강보험 가입자 가운데 가장 보험료를 많이 내는 상위 5%에서는 이 비율이 0.35%에 불과했다. 우리 사회에서 소득이 가장 적은 계층의 초고도비만율이 최상위 고소득층의 3.5배에 이르는 셈이다.
의료급여 수급자를 빼고 건강보험 가입자만 따져도, 보험료 하위 5% 집단의 초고도비만율(0.75%)이 상위 5% 집단(0.35%)보다 0.4%포인트(p)나 높았다. 이는 2002년의 0.12%p(0.25%-0.13%)와 비교해 격차가 더 커진 것이다.
지역별로는 16개 시도 가운데 제주도의 초고도비만율이 0.68%로 가장 높았고, 이어 강원(0.62%)·인천(0.59%) 등의 순이었다. 반면 대구(0.39%)·울산(0.39%)·경남(0.41%) 등은 상대적으로 인구에 비해 초고도비만 환자가 적었다.
오상우 동국대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저소득층에서 초고도 비만이 많은 것은 채소·과일 등 건강식품보다 패스트푸드 섭취가 더 잦은 반면 운동에는 소홀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며 "초고도비만이 다시 심리적 위축과 경제활동 참여 부진으로 이어져 저소득의 요인이 되는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는 저소득층의 비만 예방·관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