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6일(화)

찾는 사람도 없는데 백억대 '혈세' 들어가는 4대강 공원

인사이트황량한 금강 수변공원 / 연합뉴스


충북 옥천군 동이면 적하리 금강 둔치에는 2011년 4대강 사업의 하나로 수변공원이 조성됐다.


9만7천㎡의 넓은 공간에 산책로·광장·주차장 등이 들어섰고, 크고 작은 나무 수 천 그루도 새로 심었다. 이곳과 더불어 인접한 금강 수변 2곳에 비슷한 형태의 공원을 만드는 데 국비 136억원이 들었다.


그러나 17일 기자가 찾은 공원은 사람의 그림자는 눈을 씻고도 찾아 볼 수 없었다. 대낮인데도 구불구불 난 산책로는 적막했고, 스산한 분위기마저 감돌았다.


풀숲에는 술병 등 각종 쓰레기가 나뒹글고, 누군가 고기를 구워 먹은 지저분한 흔적에 절로 눈살이 찌푸려졌다.


공원 조성 취지처럼 여유롭게 산책을 즐기며 '힐링'을 할 엄두가 나지 않는 풍경이었다.


인근에서 농사를 짓는 이현용(64)씨는 "며칠 전 어른 키 만큼 우거졌던 잡초를 베어내서 이 정도지, 그 전에는 걷기조차 힘들었다"며 "낚시꾼이나 다슬기를 잡는 사람이 가끔 오갈 뿐, 일부러 산책하러 오는 시민은 없다"고 말했다.


이 공원은 조성 때부터 논란이 됐다. 사람 왕래가 거의 없는 외진 곳인 데다, 강의 홍수위보다 낮은 위치여서 장마 때면 물에 잠기기 일쑤였기 때문이다.


이를 입증이라도 하듯이 준공 이듬해 공원 전체가 쑥대밭으로 변했다. 강물이 범람해 새로 심은 조경수는 흔적도 없이 뽑혀 나갔고, 산책로와 광장도 진흙에 파묻혔다.


이후에도 해마다 장마철이면 으레 공원 구역이 물에 잠기고, 물이 빠진 뒤에는 망가진 시설물을 손질하는 땜질 복구가 되풀이되고 있다.


◇ 여름이면 밀림 변해…마지못해 한해 2차례 풀깎아 '관리'


인사이트인적이 뚝 끊긴 수변공원 산책로 / 연합뉴스


옥천군은 이용객 없는 이 공원의 풀을 깎는데 한해 5천만원 넘는 돈을 쓰고 있다. 올해도 대전지방국토관리청에서 지원받는 유지관리비 7천600만원 중 76.3%(5천800만원)가 제초비로 집행된다.


군 관계자는 "여름에는 공원구역 전체가 밀림으로 변해 2차례 풀베기를 한다"며 "활용도는 떨어지지만, 시설물 등을 방치할 수 없어 관리는 계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원이 졸속으로 조성되는 바람에 5년 넘게 혈세가 줄줄 새고 있다.


인접한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와 양산면 송호리의 수변공원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찾는 사람은 없지만, 해마다 풀 깎기와 시설물 보수공사를 하느라고 막대한 예산이 낭비되고 있다.


영동군은 올해 수변공원 2곳을 비롯해 약 14㎞에 이르는 국가하천(금강) 유지관리비로 6억5천만원을 확보했다.


최근 절반이 넘는 3억6천만원을 들여 풀을 깎고 물 흐름을 방해하는 나무를 베어내는 정비공사를 시작했다.


군 관계자는 "활용도가 높지 않은 수변공원 쪽은 풀을 베는 작업만 할 뿐, 시설 등을 새로 설치하지는 않는다"며 "영동천 정비사업에 맞춰 수변공원까지 자전거 도로를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4대강 수계에 들어선 충북지역 수변공원 일부가 시민한테 외면당한 채 관리비만 축내는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위치를 정하고 설계할 때 주민 의견을 충분히 묻지 않고 공사를 강행한 결과다.


◇ 국토청 "기능 못하면 공원 폐쇄"…막대한 돈 들였는데 사라질 운명


인사이트쓰레기 수북한 수변공원 / 연합뉴스


도내에는 옥천·영동·청주의 금강 수계 5곳과 충주·제천·단양의 한강·남한강 수계 5곳에 4대강 수변공원이 있다.


그러나 체육공원 형태로 운영되는 단양 별곡지구와 충주 능남지구 등을 제외한 농촌지역 공원 대부분은 이용자 없이 황량하다.


옥천·영동지역 3곳을 비롯해 청주시 강외지구가 여기에 해당된다. 도심공원이라도 외진 곳은 사람의 발길이 뜸하다.


보다 못한 제천시는 올해 남한강 수계 중전지구 생태공원에 야구장을 새로 건설했다. 더 많은 시민이 찾도록 하기 위해서다.


시 관계자는 "큰 돈 들여 조성한 친수공간을 더 많은 시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시설을 보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 지역 국가하천 관리를 맡는 대전·원주지방국토관리청도 활용도가 높은 곳 위주로 유지 관리비를 차등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사람이 많이 찾은 곳에 예산을 집중하고, 그렇지 않은 곳은 점차 지원을 줄여 장기적으로 자연 상태로 되돌린다는 구상이다.


대전지방국토관리청 하천계획과 이원종 주무관은 "4대강 사업을 통해 금강수계에만 92곳의 크고 작은 친수공간이 들어섰는데, 일부는 접근성이 떨어지고 연계시설도 빈약한 상태"라며 "인구가 적은 농촌지역 일수록 그런 곳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의 유지관리 예산이 해마다 줄어 친수공간을 관리하는 데도 선택과 집중이 불가피하다"며 "방치되는 공원시설을 활용하기 위한 자치단체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올해 106억원의 유지관리비를 금강 수계에 위치한 대전과 충남·북, 세종, 전북지역 18개 지자체에 차등 지원했다.


특단의 대책이 나오지 않을 경우 큰 돈 들여 조성한 농촌지역 친수공간이 제구실 못한 채 사라질 운명에 놓이게 됐다.


여론 수렴 절차나 현지 실정 고려 없이 졸속으로 추진한 탁상 행정이 볼썽사나운 민낯을 고스란히 드러낸 것이다.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