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imagesbanks
휴대전화에서 나오는 방사선이 종양을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 독성물질프로그램'(National Toxicology Program, NTP)이 쥐(rat)와 생쥐(mouse)를 대상으로 휴대전화 방사선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일부 쥐에서 종양을 유발했다고 미국 언론들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진은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GSM(유럽이동통신규격) 및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각각 적용한 900MHz의 방사선에 실험 대상을 노출했다.
10분 노출하고 10분은 중단하는 방식으로 하루 9시간씩 2년 동안 연구를 진행했다. 이날 결과의 일부가 공개된 쥐 실험에서는 방사선이 종양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뇌에서는 악성 신경교종(malignant gliomas)이, 심장에서는 신경초종(schwannomas)이 각각 발견됐다.
GSM 방식으로 실험한 수컷 쥐에서는 최대 3.3%의 뇌에 신경교종이 확인됐으며, CDMA 방식에서도 수컷은 최대 3.3%가 발병했다.
암컷 쥐에서는 각각 1.1%, 2.2%가 확인돼 수컷보다는 비율이 낮았다. 방사선에 아예 노출되지 않은 쥐에서는 종양이 발견되지 않았다.
방사선에 노출된 일부 쥐의 심장에도 신경초종이 생긴 것으로 확인됐다.특히 CDMA 방식이 적용된 실험에서는 최고 6.6%의 발병률을 기록했다.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은 쥐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연구진은 "쥐의 뇌와 심장에 종양이 생긴 것은 방사선에 노출된 결과로 여겨진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에서 나오는 방사선이 인체에도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두고 다시 논란이 가열될 전망이다.
NTP의 프로젝트 리더 출신인 론 멜니크는 "이번 연구결과로 말미암아 휴대전화 방사선이 위험하지 않다는 주장은 끝났다"고 월스트리트저널에 밝혔다.
하지만 호주 시드니대 연구팀은 지난 30년 동안의 자료를 활용해 휴대전화는 급격히 보급됐지만, 뇌종양 발병률은 높아지지 않았다며 상관관계가 없다는 결과를 지난달 내놓았다.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