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5일 기준금리를 연 2.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이는 지난 2022년 10월 이후 약 2년 4개월 만에 다시 기준금리가 2%대로 내려온 것이다.
금통위는 이날 오전 통화정책 방향 결정 회의에서 기존 연 3.00%였던 기준금리를 한 단계 낮추기로 결정했다. 이는 최근 고환율에도 불구하고 내수 경기 부진을 고려한 조치로, 지난해 11월 이후 석 달 만에 금리를 다시 내린 것이다.
작년 10월과 11월, 금융위기 이래 처음으로 두 차례 연속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했던 금통위는 올해 초 고환율을 이유로 동결했으나, 이번에는 다시 인하를 선택했다.
한은은 이번 금리 인하와 함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크게 하향 조정했다.
뉴스1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 11월의 1.9%에서 불과 석 달 만에 1.5%로 대폭 낮췄다.
내년 성장률 전망은 그대로 유지해 1.8%로 제시했다.
지난달 한은이 발표한 경제 중간 점검에서는 "올해 경제 성장률이 1.6~1.7%로 하향 조정될 수 있다"고 예고했지만, 이번에는 더 암울한 전망치를 내놓았다. 이에 따라 한국 경제는 향후 몇 년간 저성장 궤적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2023년 1.4%, △2024년 속보치로는 2.0%, △2025년에는 1.5%, △2026년에는 전망치로서 1.8%라는 수치를 제시했다.
경기는 여전히 한파를 가리키고 있지만, 물가 상승세는 꺾이지 않았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이날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연 2.75%로 0.25%포인트(p) 인하했다. 2025.2.25/뉴스1
한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올해와 내년 모두 각각 1.9%로 제시하며, 이는 지난해와 동일한 수준이다. 이는 고환율 장기화로 인해 수입 물가가 상승하면서 경기 부진에 따른 수요 감소 효과를 상쇄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번 기준금리 인하 결정은 시장의 예상과도 일치한다.
뉴스1 조사 결과 채권 전문가들 중 대부분이 이번 달 금리 인하를 예상했으며, 금융투자협회 조사에서도 과반수가 인하를 예측했다.
추가적으로, 이번 금리 인하는 한국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가 가계부채 부담을 완화하고 소비 심리를 자극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저금리가 장기화되면 금융시장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또한, 글로벌 경제 상황 역시 한국의 통화 정책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