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 토스페이 시장 점유율 높이기 위해 대규모 투자
비바리퍼블리카 이승건 대표 / 사진=토스
과거 신용카드 회사들이 치열한 시장 경쟁을 펼쳤다면, 이제 그 무대는 간편결제 서비스로 옮겨갔다. '페이(Pay)'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점유율 확대를 위한 적극적인 행보에 나서고 있다.
토스는 간편결제 서비스 '토스페이(Toss Pay)'를 사용하지 않는 온라인몰 판매자들에게 최대 3,000만 원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자사 결제 서비스를 더욱 확산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지난 19일 전자신문 보도에 따르면, 토스는 서비스 출시 10주년을 맞아 온라인몰 판매자들을 대상으로 3,000만 원 상당의 페이백 혜택과 최대 20만 명에게 노출 가능한 ‘토스 앱 푸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토스는 B2B 서비스인 '토스비즈니스'에 가입한 온라인몰 가맹점주들에게 개별 문자 메시지를 보내 이 같은 지원 내용을 안내했다. 신규 가맹점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풀이된다.
현재 간편결제 시장에서 네이버페이 가맹점은 약 300만 개에 달하는 반면, 토스페이는 3만 개 수준으로 업계 1위의 1%에 불과하다. 카카오페이는 약 100만 개의 가맹점을 확보하고 있어 토스와의 격차가 상당하다.
토스 페이 새로 들이는 가게에 최대 3천만원 지원
토스는 이번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신규 가맹점을 대거 확보하고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목표다. 가맹점 1만 개 유치를 가정하면, 투자 비용만 최대 3,000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지원금은 토스페이를 처음 사용하는 고객들에게 적립금 형태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5만 원 이상 결제 시 1만 명에게 3,000원씩 적립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결제 금액과 적립금 규모는 최대 3,000만 원 한도 내에서 판매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적립금 지급 비용은 전액 토스가 부담한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 같은 지원을 통해 온라인몰 판매자는 고객에게 페이백 혜택을 제공하며 매출을 증대할 수 있고, 소비자는 추가 혜택을 받으며 자연스럽게 토스페이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토스는 자사의 슈퍼앱 기능을 활용해 ‘토스 앱 푸시 알림’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최대 20만 명의 트래픽을 유입할 수 있다. 판매자는 원하는 타깃 고객층을 설정할 수 있으며, 토스는 결제 이력을 기반으로 맞춤형 알림을 발송해 실질적인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한다.
예를 들어, 최근 특정 쇼핑몰에서 구매 이력이 있는 2030 여성 고객 5만 명을 대상으로 푸시 알림을 보내는 방식이다. 사용자가 해당 알림을 클릭하면 판매자 자사몰로 바로 연결되며, 이를 통해 e커머스 사업자는 대규모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토스는 이번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가맹점을 확대하고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와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온라인몰 판매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