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정부의 의대 입학정원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 중 상당수가 일반의로 재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사직하거나 임용을 포기한 레지던트 9,222명 중 5,176명(56.1%)이 의료기관에 재취업했다.
이들 중 대다수가 대형병원이 아닌 '동네의원'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3분의 2가 수도권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공의들은 지난해 2월 6일 정부가 의대 입학정원을 2천 명 증원한다고 발표한 후 집단 사직서를 제출했고, 이후 20일부터 근무를 중단했다. 이어 같은해 6월 정부의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 철회로 7월부터 병원별로 사직 처리가 시작되면서 일반의로 재취업할 수 있게 됐다.
뉴스1
일반의는 의대 졸업 후 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했지만 전공의 수련 과정을 거치지 않은 의사로, 과목별로 인턴과 레지던트 과정을 거쳐 전문의 시험에 합격하면 전문의가 된다.
재취업한 전공의들의 근무지는 주로 의원급 기관으로, 58.4%인 3,023명이 해당된다.
상급종합병원에 재취업한 경우는 1.7%(88명)에 불과하며, 병원 815명(15.7%), 종합병원 763명(14.7%), 요양병원 383명(7.4%), 한방병원 58명(1.1%) 등에 재취업한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약 4천 명의 전공의는 여전히 의료기관 밖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1
한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전국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일반의 수는 10,684명으로는 전공의 사직 전인 2023년 말보다 76.9% 증가했다.
반면 전국 의료기관 인턴은 2023년말 대비 96.4%, 레지던트는 88.7% 급감했다. 전문의 숫자도 1년 새 1.8% 늘었지만, 1년째 이어진 전공의 사직으로 전문의 1차 합격자 수가 지난해의 18% 수준으로 급감하면서 올해 말에는 작년 수준에 머물거나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김 의원은 "필수의료 의사를 늘리기 위한 정책이 오히려 역효과를 내고 있는 격"이라고 지적하며, "정부가 하루빨리 의료계와 협력해 의료대란을 수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