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전국 국립대병원이 지난해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며 심각한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다.
18일 뉴스1에 따르면 전국 11개 국립대병원의 지난해 총 적자는 5,662억 7,898만 원에 달했다. 분당서울대병원을 제외한 10개 병원이 적자를 기록했으며, 특히 서울대병원과 경북대병원의 적자 규모는 각각 1,106억 원, 1,039억 원으로 1,000억 원을 넘어섰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립대병원의 총 손실액은 전년 대비 약 두 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이 가장 큰 손실을 입었으며, 전남대병원(677억 원), 부산대병원(656억 원), 전북대병원(490억 원) 등도 수백억 원대의 적자를 기록했다. 충북대병원, 제주대병원, 충남대병원 역시 각각 418억 원, 334억 원의 손실을 입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유일하게 흑자를 기록한 분당서울대병원조차도 전년 대비 수익이 35% 감소했다.
이러한 경영난의 주요 원인으로는 의정 갈등의 장기화와 의사 인력 감소에 따른 진료 축소가 지목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국립대병원들이 '도산 직전'에 이를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대한병원협회의 박종훈 한국병원정책연구원장은 "의료진 이탈, 이번 사태로 불거진 갈등, 미진한 대체 인력 채용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려 병원의 손실 폭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각 병원도 자구책을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김선민 의원은 "의정갈등 장기화로 공공의료를 담당하고 있는 국립대병원들의 적자가 전년 대비 2배 증가했다"며 "이렇게 정부의 정책 실패로 인해 공공병원에 막대한 적자가 나도 국가는 제대로 보전해 주지도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공공병원 직원들의 업무 고충은 2배, 3배 늘어날 수 있다"면서 "하루빨리 정부는 의료계와 협의해 의료대란을 수습하고, 정책 실패로 인한 적자 보전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현장 노동자들도 '비상 경영체제'를 명목으로 처우 등이 열악해졌다며 사태 해결 등을 촉구할 계획이다.
의료연대본부는 "시민들의 건강권과 의료 노동자들의 근로 환경이 모두 위태로운 상황"이라며 "무급휴가 강요, 권위적인 병원 운영 사례 등을 지적하고, 국립대병원의 운영 실태와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