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나이가 들수록 시간이 빠르게 흐르는 것처럼 느끼는 현상은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경험이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이러한 체감시간의 변화와 노화의 관련성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을 소개했다.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프랑스 심리학자 폴 자네의 '자네의 법칙'이 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심리적 시간은 연령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1세 아이가 체감하는 1년을 365일로 본다면, 20세에게 같은 1년은 18.3일, 40세는 9.1일로 줄어든다.
나이가 들수록 시간은 더 짧게 느껴지며, 50세에는 일주일(7.3일), 80대에는 겨우 4.6일로 감소한다. 또한, 사사키 다쿠야 도호쿠대 약학부 교수는 시간과 뇌의 작용을 강조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그는 뇌의 해마에 있는 '시간 세포'가 외부 정보량에 따라 시간을 느끼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정보량이 많을수록 시간이 천천히 가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스마트폰으로 웹서핑할 때는 뇌 기능과 시간 세포가 둔해져 기억에 남지 않고 시간이 빨리 지나간다.
뇌의 작용을 촉진하는 경험은 체감시간을 길게 만든다.
새로운 장소로 여행하거나 어학·자격시험 공부를 하는 것이 이에 해당된다.
닛케이는 통근 경로를 평소와 다르게 바꾸는 것만으로도 하루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