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8일(월)

아이폰 수리비에 소비자 불만 폭주... "공식 센터는 50만원, 사설 업체는 10만원도 안 돼"

국내 소비자들, 구입 1년 내 휴대전화 수리에 연간 7,000억 써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YouTube 'Allstate Protection Plans'


비싼 수리비에 대한 아이폰 유저들의 불만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국내 소비자들이 구입 1년 내 휴대전화 수리에 사용하는 비용만 연간 7,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식 서비스센터와 사설 수리 업체의 수리 비용이 큰 차이를 보이면서 사설 수리업체 인증제 도입을 통해 제조사 서비스센터 외에도 업체 간 경쟁을 통해 수리비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2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형두 국민의힘 의원이 공개한 올해 국정감사 답변자료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구입한 지 1년 이내에 이용자 중 20.9%가 서비스센터를 찾고 있으며, 이 중 38.6%가 유상 AS 판정을 받아 비용을 부담한 것으로 파악됐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Reddit


휴대전화 고장 중 액정 관련 비중이 56%(파손+흠집)로 가장 높았으며, 액정 수리 비용은 출고가 대비 26%(46.5만 원) 수준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갤럭시 S24 울트라, 아이폰 16 프로맥스 등 프리미엄 휴대전화의 평균 출고가가 177만 원임을 고려하면, 액정 고장 시 46만 5000원의 수리 비용이 발생하는 셈이다.


최 의원은 "한국은 프리미엄 휴대전화 선호도가 높아 국내 이용자는 글로벌 대비 수리 비용이 더욱 부담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수리비 부담에 대한 부정 여론이 확산되자 제조사들은 지난해 해외에서만 운영하던 '자가 수리 프로그램'을 국내에 도입한 바 있다.


이를 두고 최 의원은 "서비스센터와 비슷한 가격과 자가 수리 실패 시 이중 비용 부담 발생 등의 문제로 실효성이 미비하다"라고 꼬집었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Korea


특히 아이폰의 경우 삼성과 비교했을 때 수리비가 매우 비싼 편이다. 


배터리 교체 비용도 갤럭시의 두 배에 이른다. 이에 유저들의 불만이 이어져왔다.


해외 사례를 보면 일본의 경우 휴대전화 수리 비용 경감을 위해 '등록 수리업자 제도'를 시행 중이다.


이를 통해 일정 수준의 기술과 설비를 갖춘 사업자에게 스마트폰을 수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등 사설 수리를 양성화하고 있다.


해당 제도 도입 후 2년간 일본 스마트폰 이용자의 18.2%(2010만 대)가 사설업체를 통해 수리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형두 의원 "사설 수리업체 인증제 도입해야"


인사이트최형두 국민의힘 의원 / 뉴스1


애플 공식 서비스센터의 액정 교체 비용이 50만 원대인 것에 반해, 사설 업체는 10만 원 미만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과 유럽 등에서도 스마트폰 유저의 수리권 보호를 위해 법·제도를 개선하고 있다.


최 의원은 "일정 수준의 기술과 설비를 갖춘 사업자에게 정부가 라이선스를 발급하고, 인증 업체에서 수리 시 보증기간 내 제조사의 서비스센터에서 수리 수용을 할 수 있게 '사설 수리업체 인증제' 도입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인증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인증 기준 마련, 인증 이후 품질 관리, 원활한 부품 공급, 적정한 부품 가격 등 제조사에 대한 의무 부과가 필요하다"라면서 "'사설 수리업체 인증제'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관련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