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 26℃ 서울
  • 23 23℃ 인천
  • 26 26℃ 춘천
  • 27 27℃ 강릉
  • 26 26℃ 수원
  • 26 26℃ 청주
  • 27 27℃ 대전
  • 24 24℃ 전주
  • 28 28℃ 광주
  • 29 29℃ 대구
  • 24 24℃ 부산
  • 24 24℃ 제주

380만원짜리 명품 '디올백'의 충격적인 원가 알려지자 전 세계 난리 났다

명품 브랜드 크리스챤 디올의 380만원짜리 핸드백의 충격적인 원가가 공개됐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380만 원에 달하는 고가 브랜드 크리스챤 디올 가방의 원가가 고작 8만 원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최근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의 한 부서가 이탈리아에서 노동자 착취 혐의로 법원 조사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른 조치로 검찰은 약 12개의 패션 브랜드의 공급망을 조사하고 있으며 법원은 LVMH 소유의 디올 핸드백을 만드는 하청업체를 1년 동안 관리할 '사법행정관'을 임명하고 '사법행정 예방 조치'를 명령했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DIOR 홈페이지


이는 중국 하청업체의 노동착취를 방치·조장한 혐의에 따른 것이다. 


외신이 입수한 법원 판결 사본에 따르면 디올 핸드백을 만드는 하청업체 4곳의 노동자들은 밤샘 근무와 휴일 근무 등 장시간 노동에 시달린 것으로 파악됐다.


뿐만 아니라 일부 직원은 근무지에서 잠을 자고, 회사와 정식 고용 계약도 체결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작업 속도를 높이기 위해 기계의 안전장치도 제거돼 있었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DIOR 홈페이지


이곳의 직원 중에는 중국이나 필리핀 등에서 온 불법 이민자들도 있었다. 수사기관이 확보한 CCTV에는 이들이 담을 넘어 도망치려는 모습도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방식으로 생산비용을 아낀 업체는 가방 한 개당 불과 53유로(한화 약 7만 8000원)를 받고 디올 사에 넘겼다.


그러나 디올은 이 가방을 매장에서 2600유로(한화 약 384만 3000원)에 판매했다. 거의 50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법원은 LVMH 사업부가 하청 업체의 실제 작업 조건이나 기술 능력을 확인하지도, 정기 감사를 실시하지도 않았다며 책임을 물었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밀라노 검찰과 이탈리아 경찰은 다른 브랜드에 공급하는 소규모 업체에 대해서도 추가로 조사를 진행 중이다.


앞서 지난 4월 조르지오 아르마니 그룹 역시 공급업체를 제대로 감독하지 않았다는 의혹으로 유사한 조치를 받은 바 있다.


당시 아르마니 그룹은 "공급망에서 남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항상 노력해 왔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