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 26℃ 서울
  • 23 23℃ 인천
  • 26 26℃ 춘천
  • 27 27℃ 강릉
  • 26 26℃ 수원
  • 26 26℃ 청주
  • 27 27℃ 대전
  • 24 24℃ 전주
  • 28 28℃ 광주
  • 29 29℃ 대구
  • 24 24℃ 부산
  • 24 24℃ 제주

"결혼식, 밥 안줘도 되니 축의금 낮추면 안되나요"...요즘 MZ들의 고민

한 유튜버가 예식장에서 밥을 안 먹는 대신 축의금도 적게 내면 안 되냐는 '소신 발언'을 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최근 끊임없이 논란이 되고있는 '결혼식 축의금' 문제.


요즘 웨딩홀의 평균 식대가 인당 6~9만 원으로 고가를 기록하다 보니 축의금을 5만 원만 내고 밥까지 먹고 가면 '진상'으로 찍히는 분위기가 생겨나고 있다.


축하하는 마음으로 결혼식에 참석해 준 것은 분명 감사한 일 이지만, 밥값보다 적은 축의금은 결혼식을 진행하는 당사자들의 입장에서 수지 타산이 맞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한 유튜버는 "결혼식장에서 비싼 스테이크를 주면 어떡해"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리며 예식장의 밥값과 축의금에 대한 '소신 발언'을 이어갔다.


인사이트YouTube '슈카월드 코믹스'


그는 "옛날에는 식장의 식대가 5만 원보다 낮다 보니 축의금으로 5만 원짜리 한 장 내면 만사 끝이었다"라며 "다툼이 생길 일이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지금은 평균 식대보다 조금 많은 8만 원짜리 지폐가 없다 보니 '10만 원을 내자니 과하고, 밥값보다 적은 5만 원을 내자니 쫌생이 같은'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결혼을 하는 부부가 식에 참석한 하객들에게 감사함을 표하며 밥을 대접하는 결혼식 문화가 어느순간부터 '상대에게 비용을 떠넘기는 것'으로 변질됐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그는 "이렇다 보니 와서 얼굴 보고 축하해 주는 사람보다 차라리 안 와서 밥 안먹고 축의만 하는 사람을 더 좋아하게 된다"며 "사실 저도 그랬으니 그들이 '잘못됐다'는 말은 할 수 없다"며 멋쩍은 웃음을 지었다.


인사이트YouTube '슈카월드 코믹스'


그러면서 그는 "'결혼식장에서 밥을 안 주면 안 되나?'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며 "굳이 거기까지 가서 비싼 밥 안 먹고 다과 정도만 나오는 거다"라며 결혼식 식문화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밝혔다.


웨딩 업체가 돈을 벌기 위해 제공하는 비싼 호텔식 스테이크를 썰며 매번 축의금에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식사 대신 간단한 음식만 제공되는 것은 어떠냐는 것이었다.


그의 참신한 주장을 본 누리꾼들은 "진짜 좋은 생각이다. 밥 안 주고 커피만 주면서 축의금 적게 내면 좋겠다. 친하면 알아서 더 낼 텐데", "기분은 자기가 내고 돈은 내가 내는 분위기 문제긴 하다", "거지 근성으로 뽕 뽑으려는 사람들이 문제다. 밥값 아까우면 결혼식 부르지 마라"라는 반응을 보였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