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김소영 기자 = 마음의 본질을 꿰뚫어 보고 진화론과 신경과학(뇌과학)을 통해 '나는 누구이며, 어디서 왔는가?', '무엇이 나를 인간으로 만드는가?' 등의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아볼 수 있는 책 '신경과학, 마음의 탄생과 진화'가 출간됐다.
마음은 몸을 위해, 몸이 잘 움직이게 하려고 존재하는 것이며 진화 과정에서 마음이 발달할 수 있었던 것은 마음이 몸의 유지에 도움을 주었기 때문이다. 마음은 약간의 금속과 탄소, 수소, 산소, 질소, 유황, 인과 같은 화학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마음은 물리적 세계에 속하는 자연의 일부다. 또한 마음은 뇌의 작용이다. 뇌가 몸이 생존에 적합한 행동을 하도록 하듯이, 뇌의 작용인 마음도 동일하다. 뇌의 본질적 기능이 운동이듯이 마음의 본질도 그렇다. '마음은 운동이 내면화된 것'이다.
"'나'를 알고 싶을 때 뇌과학을 공부하라"는 뇌과학자 질 볼트 테일러의 말이나 "만성통증에 시달린다면 마음을 치료하라"는 신경과학계의 주장은 몸과 마음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밝혀낸 데 따른 것이다. 지금 우리는 몸과 마음의 관계에 관한 생각을 바꾸어야 하는 새로운 전환점에 있으며, 그 중심에 신경과학과 뇌과학이 놓여 있다. 왜냐하면, 신경과학과 뇌과학이 새로운 정신과학의 길로 우리를 인도할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침팬지의 생물학적 지위는 생리학적으로나 해부학적으로 인간과 매우 유사하며, 분자 수준에서도 매우 가깝다. 하지만 다윈이 죽은 지 백 수십여 년이 흐른 오늘날에도 그들이 우리와 제일 가까운 혈족이라는 사실을 입에 올리기 거북스러워하는 사람들이 있다. 또 마지못해 동의하는 사람도 썩 유쾌한 표정이 아니다. 침팬지에게서 본래 우리의 모습을 찾는 것, 그것이 과연 인간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일일까?
신경과학(뇌과학)은 침팬지와 구별되는 인간의 고유한 지위를 규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지난 30여 년 동안 신경과학(뇌과학)은 신경 체계에 대한 폭넓은 연구 성과를 내놓았고, 심리적 삶의 법칙과 이들 법칙이 우리 두뇌에서 어떻게 출현하는지에 대해 많은 것을 밝혀냈다.
'나는 누구이며, 어디서 왔는가?', '무엇이 나를 인간으로 만드는가?' 이 책은 진화론과 신경과학(뇌과학)을 통해 이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아보려고 한다. 몸과 마음은 서로에게 무엇인지 알아보고 마음의 존재 이유와 물질로서의 마음, 신경 네트워크와 마음 등 마음의 본질을 꿰뚫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