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카타르 도하 세계유산위원회 결정 "군사방어술 집대성·살아 있는 유산"
북한·중국까지 합치면 한민족 유산 14번째 등재
남한산성이 한국의 11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유네스코는 22일(한국시간) 카타르 수도 도하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계속한 제38차 세계유산위원회(WHC)에서 한국이 신청한 남한산성에 대한 세계유산 등재를 확정했다고 문화재청이 이날 밝혔다.
이로써 한국은 1995년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등 3건이 한꺼번에 처음으로 등재된 이래 창덕궁과 수원화성(이상 1997년),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이상 2000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2007년), 조선왕릉(2009년),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2010년)을 거쳐 남한산성에 이르기까지 모두 11건에 이르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북한의 고구려 고분군과 개성역사유적지구, 그리고 중국 동북지방 일대의 고구려 유적을 합치면 한민족 관련 세계유산은 14건을 헤아린다.
ⓒ연합뉴스
이날 등재 심사에서 남한산성은 세계유산 가운데 인간이 남긴 기념물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유산'이 되기 6개 조건 중에서도 기준(ⅱ)와 (ⅳ)를 충족했다고 평가됐다. 애초 한국정부는 등재기준 (ⅲ) '현존하거나 사라진 문화와 문명의 독보적이거나 특출한 증거'도 남한산성이 충족하는 것으로 제출했지만 이날 회의는 이를 채택하지 않았다.
등재기준 (ii)는 "특정 기간과 문화권 내 건축이나 기술 발전, 도시 계획 등에서 인류 가치의 중요한 교류의 증거", 등재기준 (iv)는 "인류 역사의 중요 단계를 보여주는 건물, 건축,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탁월한 사례"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남한산성은 17세기 초 비상시 임시 수도로서 당시 일본과 중국의 산성 건축 기술을 반영하고 서양식 무기 도입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군사 방어 기술을 종합적으로 집대성하고 있음을 높이 평가받았다. 세계유산위는 나아가 7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는 축성술의 시대별 발달 단계와 무기체제의 변화상을 잘 나타내며, 지금까지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어 살아있는 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부연했다.
이는 등재 심사에 앞서 현지실사 결과 등을 토대로 한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이코모스(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의 '등재(Inscribe) 권고' 판정을 받아들인 것이다.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