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유진선 기자 = 정부가 코로나19 방역체계와 관련 '위드(With) 코로나'라는 용어의 사용 자제를 당부했다.
자칫 방역에 대한 긴장감이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지난 6일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백브리핑에서 "정부 내에서는 '위드 코로나' 용어를 가급적이면 쓰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위드 코로나'가 너무 포괄적 용어로, 정확한 정의가 없어 자칫하면 확진자 발생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없앤다는 표현으로도 사용되고 있어 방역적 긴장감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정부 차원에서는 급격한 방역 긴장감 완화를 방지하고, 기존 방역관리 체계를 유지하면서 점진적으로 나아간다는 의미에서 '단계적 일상 회복 방안'이라는 용어로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손 반장은 9월에 방역적 긴장감을 유지하며 유행을 얼마다 통제하는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방역 관리가 유지되면서 코로나 유행이 좀더 안정되는 성과가 있어야 점진적으로 방역 체계 조정 검토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다만 일시에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대폭 완화되거나 사라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손 반장은 "현재 입원 병상이나 중환자실 가동률은 60~70% 수준이나, 방역의 급격한 완화는 의료체계 상황 악화와도 직결되므로 상당 기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YTN의 의뢰를 받아 지난 3일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월 초 위드 코로나로 방역 체계를 조기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58.5%(매우 찬성 24.5%, 약간 찬성 34%) 였다. 국민 10명 중 6명 가량은 찬성 의견을 밝힌 셈이다.
반면 해당 의견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34.3%(매우 반대 15.1%, 약간 반대 19.2%)였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7.2% 였다.
이처럼 내달 초 위드 코로나 전환에 찬성하는 등 빠른 변화를 원하는 여론이 적지 않지만 방역당국 및 전문가들은 유행 규모 안정화, 고령층 90%·일반 성인 80% 백신 접종 완료, 입원율·중증화율·사망률 억제 등의 전제조건을 먼저 충족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