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천소진 기자 = 정은경 본부장이 서울 구로구 콜센터에서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했을 당시의 역학조사와 방역 과정 등을 정리한 논문을 발표했다.
26일(한국 시간) 미국 질병통제센터(CDC)가 발행하는 의학 학술지 '신종 감염병' 최신 호에 따르면 지난달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팀(제1저자 박신영)은 해당 논문을 전 세계 전문가들에게 공개했다.
이 논문은 국내 코로나19 방역 총책임자인 정 본부장이 책임저자로 올렸다. 정 본부장이 코로나19 관련 논문을 낸 건 이번이 처음이다.
논문에서 연구팀은 콜센터 건물에 근무하거나 거주, 방문했던 1,143명 중 97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최초 확진자가 나온 11층의 발생률이 43.5%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조사 결과 무증상 감염자의 경우 가족 접촉자 17명 중 2차 감염자가 한 명도 없었다고 보고했다.
이를 토대로 무증상 상태에서의 전염성이 정확히 진단되지 않았거나 고강도 자가격리조치 등이 2차 감염 확산을 막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건물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이뤄진 방역 과정도 소개했다.
논문에 따르면 지난달 9일 건물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확인된 이후 건물을 폐쇄하고 5분 이상 머물렀던 이들을 추적해 1만 6,628건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 바 있다.
또한 휴대전화 위치 데이터를 활용해 이들의 이동 상황을 추적했던 점도 밝혔다.
연구팀은 건물 11층 콜센터 직원들의 자리 배치를 그림으로 만들어 설명을 덧붙였다. 그러면서 확진자들의 자리를 별도로 표기해 밀집된 근무 환경이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는지를 강조했다.
논문을 통해 이들은 "엘리베이터와 로비에서 서로 다른 층에 있는 이들 사이에 상호 작용이 있었음에도 확산은 거의 11층에 제한됐다"며 "콜센터와 같은 고밀도의 작업 환경이 코로나19 확산에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전했다.
한편 정 본부장을 비롯한 연구팀은 이번 콜센터 집단 감염에 관한 한국의 방역사례가 취약 계층의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막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