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김다솜 기자 = 코로나19 사태는 인구 60~70%가 감염돼야만 해소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는 국내 인구의 60%에서 면역력이 생겨야 종식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독일의 메르켈 총리 등이 인구의 60~70%가 감염될 것으로 전망했지만 국내 전문가들의 공식 발표로는 처음이다.
지난 23일 오명돈 중앙임상위원장은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오 위원장은 "인구 60%가 면역을 가졌을 때 (코로나19) 확산을 멈출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메르켈 총리가 "인구의 60~70%가 감염될 것"이라고 밝힌 데 이은 것이다.
그렇다면 60%라는 수치는 어떻게 계산된 것일까. 현시점에서 환자 1명당 2.5명의 감염자가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됐다.
시뮬레이션 결과 10명 중 6명이 감염돼 면역력이 생기면 더는 주변으로 퍼지지 않는 것으로 계산됐다.
면역을 가진 사람이 많아져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더 이동을 하지 않게 되는 시점이 바로 인구의 60~70%가 면역을 갖게 되는 때라는 분석이다.
다만 24일 윤태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우리나라 인구 70%가 감염된다면 3,500만 명이 감염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 중 치명률이 1%라는 것을 고려하면 35만 명이 사망해야 집단면역이 형성되는 것"이라며 "상당히 이론적인 수치라 이에 근거해 방역대책을 강구하진 않는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하고 있는 제한을 풀면 확진자는 급증하게 될 것"이라며 "고강도의 방역체계는 지속 가능하지 않으므로 '출구 전략'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격리는 지역 사회 감염을 막지 못했고 사회적 거리두기 또한 장기적으로 시행할 수 없어 효과를 장담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보인다.
백신이 나오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고 대유행을 피할 수 없다면 정부의 '출구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어려운 과제이지만 이 혼란에서 벗어날 '진짜 방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