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까지 폐업한 점포 수 1,900개…지난해 연간 폐업 점포 수는 1,367개
[인사이트] 김지현 기자 = 올해 8월까지 폐업한 편의점 점포 수가 1,900개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연간 폐업 점포 수 1,367개를 훌쩍 넘는 것으로, 경기 침체에 따른 매출 하락과 최저 임금 인상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12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정유섭 자유한국당 의원이 편의점 4개사(CU, GS25, 세븐일레븐, 미니스톱)로부터 제출받은 출·폐점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말 기준 폐업 점포 수는 1,900개로 집계됐다.
정 의원은 "개업 점포 수 대비 폐업 점포 수 비율인 폐업률은 지난해 24.8%에서 올해 8월말 기준 75.6%까지 치솟았다"며 "지역별 폐업률은 광주 122.9%, 경남 110.7%, 서울 102.4% 등으로 문 여는 곳보다 문 닫는 곳이 많다"고 설명했다.
CU 1,004개 점포 폐업…다른 업체들도 상황은 비슷
회사별로 살펴보면 CU는 8월까지 849개의 점포가 문을 열었지만 1,004개 점포가 문을 닫아 폐업률이 지난해 7.4%에서 올해 118.3%까지 급등했다.
이어 미니스탑이 67.1%, 세븐일레븐이 63.9%를 기록했다. GS25의 경우 경쟁사보다 낮은 43.6%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폐업률 17.6%에 비해 급등한 상황이다.
편의점 4사의 점포당 월평균 매출액은 GS25를 제외한 3사 편의점 모두가 지난해보다 0.9~2.3%까지 줄었다. 2016년과 비교하면 5,320만원에서 5140만원으로 3.3% 감소했다.
편의점 폐업률이 급증한 것은 '과도한 출점'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편의점 수는 2014년 2만 6,020개에서 지난해 3만 6,824개로 41.5% 급증했다.
또 경기 침체에 따른 매출 하락과 최저 임금 인상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정 의원은 "정부는 골목상권의 바로미터인 편의점 업계의 위기를 인식하고 비용 부담 원인인 최저 임금 인상 속도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맹점주 생존 위해 최저 수익 보장제 도입해라"…편의점 업체는 난색
한편 편의점 업계의 위기가 심각해지자 정치권은 가맹점주들의 최저 수익을 보장하는 최저 수익 보장제 도입 및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편의점 업체들은 이에 대해 난색을 표하고 있으며, 대신 업체 간 과당 출점 경쟁을 지양한다는 내용의 '근접 출점 제한 자율 규약안'을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출해 심의를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