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7일(수)

"국민들의 위대한 움직임"…전 세계 역사 바꾼 민주화 운동 9가지

인사이트5·18 기록관


[인사이트] 김지현 기자 = 오늘은 5·18 민주화 운동 기념일이다.


1980년 5월 18일 광주 시민들은 민주주의에 역행하는 신군부의 비상계엄 확대 조치에 항의해 거리로 나섰고, 민주주의를 부르짖다 고귀한 목숨을 희생했다.


우리 국민들이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고귀한 희생과 대담한 용기를 보여준 사례는 5·18 민주화 운동뿐만이 아니다.


'4·19 혁명', '6·10 민주항쟁'이 대표적이며, 훗날에는 '촛불 집회'도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위대한 움직임'으로 평가될 것이다.


인사이트이한열 기념사업회


이처럼 우리 국민들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정신이 잘못된 길을 가고 있을 때면 '국가의 주인'으로서 거리로 나가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쳤다.


그런데 이는 대한민국에만 국한된 위대한 움직임은 아니다.


체코, 튀니지, 필리핀 등 다른 나라 시민들도 자유와 민주주의가 위협받을 때면 거리로 나가 피를 흘리며 싸웠다.


총칼을 든 독재자의 공격에 실패한 사례도 있지만 많은 시간이 흐른 지금, 이들의 위대한 움직임이 있었기에 전 세계가 자유민주주의의 진정한 가치를 깨닫게 됐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럼 지금부터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국민들이 거리로 나선 전 세계 민주화 운동 사례를 알아보도록 하자.


1. 튀니지 재스민 혁명


인사이트gettyimageskorea


2010년 12월 발생한 재스민 혁명은 튀니지 남동부 지방 도시 시디부지드에서 과일 행상을 하던 청년이 단속에 항의해 분신자살을 하면서 시작됐다.


10만명이 거리로 나와 민주화 운동을 벌였고, 23년간 독재 정치를 하던 벤 알리 대통령은 사임하고 사우디아라비아로 망명했다.


재스민 혁명은 튀지니 국화(재스민)의 이름을 따왔다.


2. 천안문 사건


인사이트위키디피아


제3차 천안문 사태 또는 6.4 사건으로 불리는 천안문 사건은 1989년 6월 4일 발생했다.


중국 천안문 광장에서 민주화를 요구한 학생과 시민들을 정부가 무력으로 진압해 유혈 사태를 일으킨 정치적 참극으로 평가되고 있다.


3. 체코슬로바키아 벨벳 혁명


인사이트gettyimageskorea


벨벳 혁명 또는 신사 혁명으로 불리는 비폭력 혁명으로 1989년 구스타프 후사크가 이끌던 공산당 정권이 무너졌다.


이후 1990년 40년 만의 자유로운 총선거가 실시됐고, 현재 벨벳 혁명은 '무혈 혁명'의 대명사로 평가받고 있다.


4. 6월 항쟁


인사이트대한민국역사박물관


1987년 6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대한민국에서 전국적으로 벌어진 반독재, 민주화 운동이다.


6월 항쟁은 대한민국 민주화와 이후 사회 운동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대통령제가 간선제에서 직선제로 개헌됐다.


5. 필리핀 피플 파워


인사이트위키디피아


우리나라의 4.19 혁명처럼 1986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독재 정권을 몰아낸 민주화 운동이다.


100만명의 필리핀 국민들과 로마 가톨릭 교회가 참여한 민주화 운동 결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하와이로 망명했고, 코라손 아키노가 6년 단임의 새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6. 5·18 민주화 운동


인사이트5·18 기록관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광주 시민과 전라남도민이 중심이 되어 민주 정부 수립, 전두환을 비롯한 신군부 세력의 퇴진 및 계엄령 등을 요구한 민주화 운동이다.


사건 당시 군부의 통재로 인해 언론 매체는 '광주 사태'라고 칭했으나 군부 정권이 끝난 후 진상 조사가 이뤄져 광주 사태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게 됐다.


7. 멕시코 틀라텔롤코 사건


인사이트2013년 추모 시위 당시 시위대가 던진 화염병에 맞은 경찰 / gettyimageskorea


1968년 멕시코의 구스타보 군부는 독재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올림픽을 정치적으로 이용했다.


멕시코 올림픽을 열흘 앞둔 1968년 10월 2일 수도 멕시티시티에서는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민주화 시위가 전개됐다.


군부는 무장 헬기와 장갑차를 동원해 시위를 진압했고, 이 과정에서 1만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8. 4.19 혁명


인사이트국가보훈처


1960년 3월 15일에 있었던 부정선거의 무효화와 재선거를 주장하는 학생들의 4월 19일 시위로부터 시작된 혁명.


이후 이승만 당시 대통령이 하야(4월 25일)했으며 과도 정부를 거쳐 6월 15일에 제2공화국이 출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