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황규정 기자 = 카카오택시가 오늘(10일) 오후부터 1000원을 더 내면 택시를 우선 호출할 수 있는 유료서비스를 시작한다.
앞서 카카오택시는 최대 5천원까지 지불하는 유료 서비스를 선보이려다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국토교통부까지 제재에 나서자 1천원으로 하향 조정하며 한발 물러선 것으로 보인다.
10일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택시에서 택시 호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배차시스템 '스마트 호출'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웃돈 1천원을 더 내면 보다 빨리 빈 택시를 배정받을 수 있다.
'스마트 호출' 배차 시스템은 인공지능(AI)을 바탕으로 한다.
고객이 '스마트 호출'을 신청하면 카카오택시는 지난 3년간 쌓아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상 거리, 시간, 운행패턴, 교통 상황 등을 분석해 응답할 확률이 높은 기사에게 이를 전달한다.
이때 고객의 목적지는 기사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만약 기사가 목적지 확인 후 배차를 거절할 경우 일정 시간 이상 스마트 호출에 응답할 수 없는 제지를 받는다.
스마트 호출 사용료 1천원은 카카오T 앱에 등록된 신용 및 체크카드로 결제되기 때문에 고객은 현장에서 추가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다.
이렇게 모인 서비스 사용료는 고객 만족도가 높은 기사들에게 인센티브 형식으로 지급된다.
카카오택시는 이번 서비스를 통해 고객 만족도는 물론 기사들의 적극적인 호출 응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애초 카카오택시는 최소 2천원에서 최대 5천원까지의 유료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었다.
스마트 호출과 같은 '우선 호출'은 건당 2천~3천원, 빈 택시를 강제 배차하는 '즉시 배차'는 건당 4천~5천원으로 책정됐다.
카카오택시는 수익 구조를 확대하고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히려는 방안이라고 설명했지만 과도한 요금 부담에 고객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여기에 적법 논란까지 일었다. 지자체에서는 수수료(콜비)가 택시 요금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최대 2천원(심야)이라는 상한선을 두고 있다.
이에 국토부는 카카오택시 수수료가 사실상 요금 인상과 다름없다고 판단, 시정 권고를 내렸다.
결국 카카오택시는 기존 방안을 철회하고 '우선 배차' 시스템만 도입해 수수료 1천원으로 맞추는 방식을 택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다양한 의견을 받아들여 스마트 호출 기능에 대한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에서 책정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미 수수료가 없다는 최대 장점으로 카카오택시를 애용해왔던 소비자들에게 이번 서비스가 유용할 진 지켜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