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최해리 기자 = 정부가 태양광·풍력 확대 등 에너지 전환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지난해 국내 석탄 발전량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18일 한국전력 전력통계속보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석탄 발전량은 21만7,037GWh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12월치 발전량을 제외하고도 과거 어느 해보다 석탄 발전량이 많았다. 종전 연간 최고 석탄 발전량은 2016년 기록한 21만 3,803GWh였다.
석탄 발전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43.2%를 기록, 전년보다 3.6%p 상승했다. 200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반면, 원전과 액화천연가스(LNG)의 지난해 발전 비중은 27.5%, 20.8%로 나타나 전년보다 각각 2.5%p, 1.6%p씩 줄었다.
석탄의 발전량·발전 비중이 이처럼 높은 것은 지난해 새 석탄 발전설비가 무더기로 진입했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새로 지어진 석탄 발전설비는 태안 10호기(1.5GW), 삼척그린 2호기(1.2GW), 신보령 1호기(1GW) 등 총 5.3GW다. 이는 지난해 늘어난 전체 발전설비 용량 10.7GW의 절반 수준이다.
또한, 석탄 발전 비중 증가에는 계획예방정지로 멈춰 선 원전도 한몫했다.
국내 원전 24기 가운데 지난해 가동 중단된 적이 있는 원전은 고리 3·4호기, 신고리 1호기, 한울 2·3호기 등 11기로 설비 용량은 10.6GW에 달한다.
원전 전체 설비용량 22.5GW 중 절반 가까운 설비가 가동되지 않으면서 원전 다음으로 발전원가가 싼 석탄발전이 대신 가동된 것이다.
과거 정부가 미세먼지 등 환경 이슈에도 불구하고 석탄 발전을 선호한 것은 원료 원가가 상대적으로 낮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석탄 발전은 이 부분에서도 장점을 잃어가고 있다. 지난해 석탄의 국내 도입 단가는 t당 104.4 달러로 전년 68.8 달러 대비 51%나 치솟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석탄발전소에서 전기를 구입해 판매하는 한전의 매출원가가 크게 올라 결국 경영실적이 악화되는 상황까지 초래됐다.
실제로 한전은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58.7% 감소한 4조 9,532억원으로 집계됐다.
민간 전력구입비 3조 5,000억원, 연료비 2조 5,000억원, 새로 건설된 발전기와 송배전 설비의 감가상각비 8,000억원 등 영업비용이 전년 대비 크게 늘면서 영업이익이 많이 감소했다.
일각에서는 신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이 안전과 친환경에 방점을 두고 있지만 원전 가동 중단의 수혜를 미세먼지 주범인 석탄발전이 입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한다.
최해리 기자 haeri@insigh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