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30일(토)

"반려고양이 치료비로 100만원 썼는데 4일만에 죽었습니다"

인사이트gettyimagesbank


[인사이트] 권순걸 기자 = 한국 사회에 반려동물 인구가 1천만을 넘기면서 이에 걸맞는 반려동물 보험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최근 대학생 박 모(25) 씨는 함께 사는 반려 고양이의 건강이 나빠져 근처 동물병원을 찾았다.


병원 입원 후 급속도로 상태가 안 좋아진 박씨의 반려묘는 산소가 공급되는 집중치료실에서 각종 수액 등을 투여받았다.


결국 박씨의 반려묘는 병원에서 치료 중 숨을 거뒀다. 박씨는 반려묘의 죽음을 슬퍼할 겨를도 없이 병원에서 건네준 치료비 영수증을 보고 충격에 빠졌다.


나흘간 치료비로 무려 100만원이 넘는 금액이 청구됐기 때문이다.


박씨는 "나름 거액을 들여 반려묘를 치료했는데 죽어 속상하다"며 "반려묘를 치료하기 위해 쓴 돈이 아까운 게 아니라 내가 모르는 치료를 받다 죽은 것은 아닐까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인사이트gettyimagesbank


실제로 박씨와 같은 사례는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박씨와 같은 거액의 반려동물 치료비 부담을 덜기 위해 사람과 같은 보험서비스가 널리 알려질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있다.


국가 의료보험이 있는 사람과 달리 반려동물 보험이 잘 알려져있지 않아 주인들이 큰 금액을 내고 반려동물의 병을 치료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롯데손해보험과 삼성화재, 현대해상에서 반려견·반려묘를 위한 보험이 판매되고 있다.


이들 보험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험 금액은 약 50~100만원으로 다양하며 보장 내용도 제각각이다.


그러나 보험 전문가들은 이와 같은 반려동물 보험이 실제 소비자에게 도움이 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인사이트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반려동물 보험 시장이 확대되지 못하는 이유로는 지자체의 반려동물 등록제가 지지부진한 것과 일부 소비자·동물병원의 도덕적 해이 등이 있다.


지자체에 반려동물로 등록이 돼 있어야 보험을 들 수 있지만 주인들이 이를 모르거나 귀찮음을 이유로 등록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 주인이 하나의 보험으로 비슷한 외모의 반려동물의 보험금을 수령하거나 반려동물의 연령을 속이고 보험에 가입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동물병원은 보험에 가입돼 있는 반려동물에 대해 과도한 의료행위를 제공하거나 의료비용을 높게 책정해 과도한 금액을 청구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한국에 나온 반려동물 보험은 문제가 많다"며 "보험 업계의 외국 보험 베껴오기 관행이나 도덕적 해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문제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