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가를 낸 직원을 의심해 사립 탐정까지 고용해 뒷조사를 벌이는 독일 기업이 늘고 있다.
지난 11일(현지 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사립 탐정 사무소를 운영하는 마르쿠스 렌츠는 최근 기업들의 뒷조사 의뢰가 급증했다고 밝혔다.
기업들은 일할 수 있는 상태임에도 거짓으로 병가를 내는 직원들을 확인해달라고 요청한다고 한다. 연간 최대 약 1200건의 기업 요청을 받는데 이는 몇 년 전과 비교해 두 배 증가한 수치다.
렌츠는 "한 직원이 1년에 30~40일, 때로는 100일까지 병가를 낸다면 어느 순간 고용주에겐 경제적으로 매력적이지 않을 것"이라며 "가짜 병가로 판명되면 해고나 계약 해지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독일에서 자동차 대기업부터 비료 생산업체까지 많은 기업들이 높은 병가율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는 상황이다.
매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병가 절차가 쉬워진 점을 악용하려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병가율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독일 연구 기반 제약 회사 협회의 수석 경제학자 클라우스 미켈슨은 "병가 신청 증가의 영향이 크다. 확실히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협회는 질병으로 인한 직장 결근율이 증가하면서 지난 2023년 독일의 생산량이 0.8% 감소했고 경제가 0.3% 위축됐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메르세데스 벤츠의 올라 켈레니우스 최고경영자(CEO)는 "독일의 높은 병가율은 기업 입장에서 문제"라며 "같은 생산 조건에서 독일의 병가율이 유럽 다른 나라보다 배가 높다면 이는 경제적 결과를 초래한다"고 꼬집었다.
또 지난해 9월 테슬라 독일 공장 인사 담당자는 병가를 낸 직원의 집을 예고 없이 찾아가 점검한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