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을 선포한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야당과 시민들의 '탄핵 추진' 여론이 들끓는 가운데, 국민의힘 당원들이 윤 대통령의 '탈당' 문제에 이견을 보이고 있다.
4일 한겨레는 이날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사태를 중심으로 의원총회를 진행한 국민의힘 의원들이 윤 대통령의 '탈당' 문제를 두고 당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국민의힘 의원들은 전날까지만 해도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야당 의원들과 마찬가지로 분노했으나, 시민과 야당을 중심으로 윤 대통령의 '탄핵 추진' 여론이 들끓자 돌연 태도를 바꿨다.
이는 이번 '계엄 소동'으로 윤 대통령이 탄핵을 당하거나 사퇴할 경우, 민주당에게 정권을 내주는 등 정권 재창출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당 전체의 파멸 피해야 vs 탈당, 언급조차 말아라"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이날 오전 8시부터 열린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내각 총사퇴, 국방부 장관 사퇴, 대통령 탈당'을 요청하며 "최고위원들도 다수 공감하고, 이 정도 아니면 위기를 통과 못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탈당으로 당 전체가 파멸하는 최악의 경우를 피해야 한다는 게 한 대표의 주장이다.
이에 친한계 의원들은 "탈당이 금지 단어가 돼선 안 된다. '탄핵은 안 된다'고 하다가 다 놓칠 수 있다는 위기감을 가져야 한다", "같이 가려면 (윤 대통령과) 손을 놓아야 하고, 대통령이 탈당해야 한다"라며 한 대표의 발언에 힘을 실었다.
반면 친윤계 의원들의 입장은 달랐다. 이들은 "김건희 여사랑 대화한 적 있는데, 대통령이 고독해한다고 했다. 대통령이 고독할 때 지도부는 뭐했냐. 우리가 말벗이라도 해주고 해야 하는 거 아니냐"며 "대통령이 오죽했으면 그랬겠나. 나약하게 물러서면 어떻게 이기나. 정치는 프레임이다"라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과의 '손절'을 목표로 그에 대한 '탄핵', '탈당'을 언급하는 행위는, 자체로 민주당에 정권을 내주는 빌미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당내에서 윤 대통령의 '탈당' 문제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는 상황 속, 더불어민주당은 4일 '비상계엄령'을 선포한 윤 대통령과 이를 도운 김용현 국방부 장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탄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위헌적, 위법적 비상계엄을 내린 죄로 단죄하겠다"며 "수사 기관은 전 국민이 인지하고 있는 내란 사건인 만큼 즉각 수사에 착수해 내란범들을 법의 심판대에 세우라"고 촉구했다.
한편 4일 국회 요구에 따라 비상계엄을 해제한 윤 대통령은 이날 출근을 하지 않은 채 관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