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19일(화)

오마카세·명품·호캉스 즐기는 MZ세대...'신용불량' 청년층 폭증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인사이트] 이원선 기자 =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후 제때 갚지 못해 금융채무 불이행자로 등록된 30대 이하 청년층이 6개월 만에 1만7000명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신용정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30대 이하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약 23만12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과 비교했을 때 6개월 새 약 1만7000명 늘었으며 전체 금융채무 불이행자 중 30대 이하 비중도 29.27%에서 29.75%로 확대됐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고금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 회복이 늦어지면서 불어나는 이자 부담을 감당하지 못하고 '신용불량' 상태에 빠진 청년층이 늘고 있다는 뜻이다.


대출 이자를 90일 이상 연체하면 금융채무 불이행자로 등록돼 금융거래가 중단된다.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잔여 대출 원금을 의미하는 등록 금액도 늘어나는 추세다.


29세 이하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평균 등록 금액은 지난해 말 2150만원에서 올해 6월 말 2370만원으로 증가했으며 30대 역시 같은 기간 3460만원에서 3900만원으로 늘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빚을 견디지 못해 결국 개인회생으로 눈을 돌리는 청년층도 늘어나고 있다.


진 의원이 대법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개인회생 신청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20∼30대 개인회생 신청 건수는 2만5244건으로 집계됐다.


2021년과 2022년 20∼30대 신청 건수가 각각 3만6248건, 4만494건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일 뿐 아니라 올해에도 지난해보다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최근 30대 이하 연체율도 계속 오르고 있어 청년층 대출 부실 우려는 점차 커지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30대 이하 취약 차주 연체율(3개 이상 금융기관 채무자이면서 저소득 또는 저신용 차주)은 같은 기간 5.80%에서 8.41%까지 뛰었다. 아직 청년층 연체율이 낮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진 의원은 "청년층의 빚 부담이 금융 전반의 부실로 확대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금융당국의 관리·구제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MZ세대 사이에서 명품, 오마카세, 호캉스 등을 즐기는 문화가 널리 퍼져있다. 소비와 함께 신용불량 청년층도 늘어나고 있는 현실에 안타까움이 쏟아지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