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관산업협회 협회장, "콘텐츠 값어치에 해당하는 요금을 받아야 해"
[인사이트] 정봉준 기자 = 코로나19 팬더믹 동안 영화관람료가 세 차례 인상돼 관객들이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수 많은 관객들이 "영화관람료 내려라"라고 아우성이다. 이에 한국영화관산업협회 측이 입장을 밝혀 이목이 쏠리고 있다.
26일 아시아경제는 한국영화관산업협회 김진선 협회장과 한 인터뷰 내용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김 협회장은 영화관람료 인상에 관한 입장을 내놓았다.
김 협회장은 "투자배급사, 제작사 등도 요금 인상에 합의했다. 정당한 관람료를 받아야 한다는데 업계 의견이 모였다"고 운을 띄웠다.
그러면서 "양질의 영화를 만들어내는 사명을 가지고 좋은 극장용 콘텐츠로 보답하면 되지 않을까. 문화 상품을 박리다매(薄利多賣)하고 싶지는 않다"고 강조했다. 콘텐츠 값어치에 해당하는 요금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극장들은 특별관에 수십억씩 투자해서라도 관객이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고민해야 한다"고 업계의 어려움을 이야기하기도 했다.
코로나19 이후 세 차례나 올랐던 요금 인상에 관해서도 설명했다.
세 차례 인상한 영화관람료...코로나 이전보다 4천 원이나 올라..."국낸 극장들은 손해 보는 구조"
김 협회장은 "팬데믹 이후 3년 내, 3회나 가격 인상을 해 갑작스럽다는 의견은 이해한다"면서 "그럴 만한 콘텐츠를 만드는 비용이자, 콘텐츠를 선보이는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비용이다. 비싸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작사들도 인상에 적극적으로 호응했다. 그런 면에서 좋은 콘텐츠를 잘 만들기 위한 적절한 가격"이라고 현재 가격이 비싸지 않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어 "국내 극장들은 연간 관객 수가 1억5000만명이 되지 않으면 인건비, 가스·전기 요금, 임대료 등 운영 비용을 손해 보는 구조다. 영화 제작 환경이 변화하면서 제작비도 올랐다"고 객관적인 이유를 들었다.
현재 영화관람료는 평일 기준 약 1만 4천 원이다. 금요일을 포함한 주말에는 1만 5천 원이다. 코로나19 유형 전과 후를 비교해보면, 무려 4천 원이나 올랐다.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빠르게 오른 영화관람료에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누리꾼들은 요금 인상과 관련해 "이해는 하는데, 인상 텀이 너무 짧지 않냐", "넷플릭스 같은 플랫폼들이 생겨나는데, 대안이 있냐", "요금 인상 말고 상생할 수 있는 다른 방안도 모색해봐라"는 등의 비판적 반응이 쏟아졌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영화관람료 인하를 검토하기보다는 오히려 '인상'을 한다면 관객들의 발걸음이 더 줄어들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