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김소영 기자 = 메타버스 시대를 맞아 OTT 플랫폼을 선점하기 위한 영상 콘텐츠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콘텐츠 공모전도 활성화되고 있으며 공모전 글쓰기를 통해 신진 작가로 데뷔하는 길도 넓어지고 있다.
2021년 공모전의 경우 4.3 평화재단, 4.16 기념재단 등의 특정 시나리오 공모전을 비롯해 카카오M 드라마 공모전, CJ ENM의 미드폼 드라마 공모전, SBS와 JTBC, MBC, KBS 등 방송사의 드라마 공모전, 영화진흥위원회의 시나리오 공모전, 경상북도 영상 콘텐츠 공모전 등 지자체 로컬 공모전까지 다양한 공모전이 개최됐다.
이밖에도 게임회사인 엔씨소프트는 장르물 IP(지식재산권) 통합공모전을 통해 게임, 판타지, 미스터리, 스릴러, 공포, 액션 등 장르물 위주의 웹툰, 드라마, 영화 공모전을 개최했다.
영상 콘텐츠 공모전은 대중성과 오락성을 갖춘 이야기를 발굴하고 영상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식재산권(IP)이 기업의 주요 자산으로 인식되면서 이를 확보, 선점하려는 경향도 한몫하고 있다.
영상 콘텐츠 공모전은 대개 상영 시간 10분 내외의 쇼트 폼, 25분 내외의 미드 폼, 70분 내외의 단막극, 4부작, 8부작, 16부작 미니시리즈와 120분 상영 기준인 영화 시나리오 공모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모전 심사기준은 첫째 작품의 완성도와 작가의 스토리 구성력, 문장력, 어휘력이다. 둘째는 소재와 캐릭터, 스토리의 참신함, 독창성이다.
셋째는 영상 제작을 위한 사업화 가능성이다. 완성도와 독창성을 갖추었어도 영상 제작이 되지 못하면 공모전은 빛바랠 것이다.
영상 제작은 대중성과 오락성 그리고 투자 가능성 등 외부적인 요소와 결합하며 흥행 가능성을 따져봐야 한다. 로컬 공모전의 경우 공통이나 지정 주제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통 지역 문화와 연계하도록 심사기준을 정한다.
이 책은 영상 콘텐츠 공모전에 적합한 글쓰기 방법에 대해 구체적이고 세세한 가르침을 준다. 이야기를 사진 찍듯 묘사하는 회화적인 글쓰기란 무엇인지, 대중을 사로잡는 스토리 구성은 어떻게 하는지, 어떤 과정을 통해 완성도 높은 글쓰기가 가능한지 등 공모전에서 당선을 목표로 하는 영상 콘텐츠 글쓰기에 대해 알아본다.
심사 기준과 점수 배정,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한 방법, 당선작 사례, 회화적인 글쓰기를 통해 시각 이미지를 조형화하는 방법 등 공모전 입상을 위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내용으로 채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