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전형주 기자 = 코로나19의 종식을 위해서는 백신과 치료제가 빨리 개발돼야 하지만, 아직 속도가 아주 더딘 실정이다.
실험에 쓰일 영장류를 단기간에 개발할 능력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정작 영장류를 실험할 케이지(사육장)가 크게 부족한 탓이다.
하지만 정부의 1·2차 추경안(추가경정예산안)에는 케이지를 만드는 데 필요한 예산이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2일 동아사이언스는 과학계와 바이오 업계 등 관계자를 인용해 치료제·백신 개발을 위한 영장류 실험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에서 한 달간 수행할 수 있는 영장류 실험은 많아야 3건이다. 희망 기업의 6분의 5가 실험에 들어가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기업 가운데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후보군을 개발해 전임상 최종 단계인 영장류 실험을 하고자 희망하는 곳이 매달 20곳 정도인 데 비해 크게 적은 수다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실험시설인 케이지가 부족해서다. 실험은 동물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ABL-3)에서만 가능한데, 현재 센터 내 마련된 ABL-3 케이지 수는 총 16개다.
이마저도 2개가 고장 나 수리를 하고 있고, 14개만 운영되고 있다. 케이지를 최대한 활용하면 한 달에 백신 후보군을 3개 정도만 실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가 발생하고 급증한 실험 수요를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감염병연구센터가 이 같은 내용을 토대로 추경 예산안을 제안했지만, 1,2차 추경에서 모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정책관은 "추경에서는 갑작스러운 요청이라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장기적으로 문제를 해소할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감염병연구센터는 4월 말~5월 초 붉은털원숭이를 이용해 코로나19 중등도 이하의 증상을 개체별로 고르게 보이는 영장류 감염병 모델을 개발해냈다.
특정 질병에 대한 영장류 실험 모델 개발에는 보통 6개월 정도의 시간이 걸리지만, 감염병연구센터는 코로나19의 시급성을 고려해 시간을 단축해 2개월여 만에 개발을 끝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