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전준강 기자 = "게임에 중독됐던 친구가 바로 이 자리에 앉아있습니다. 바로 저입니다"
'게임' 하나 만으로 국내 최고의 크리에이터 반열에 오른 대도서관은 아이들에게 '게임'을 무작정 막아서는 안된다고 호소했다.
상대 패널이 조롱하고, 비웃고, 억지를 부려도 대도서관은 변화하는 세상에 발맞춰 어른들의 의식도 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21일 MBC 100분 토론은 '게임 중독, 질병인가 편견인가'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이날 여러 가지 화젯거리가 있었지만, 사람들에게 가장 깊게 각인된 장면은 대도서관의 마지막 발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가 남긴 마지막 호소는 현재 10대 청소년들에게 큰 공감을 얻고 있다.
그는 "게임은 중독·질병보다 '과몰입' 기간이 있다"면서 "어떤 취미활동을 시작하면 머릿속에는 온통 그것만 가득할 때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아이들 또한 그렇다"며 "아이들을 이해해주는 게 먼저지 '무조건 하지 마'라고 한다고 해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시대가 바뀌었고, SNS·게임 안에서 맺어진 관계는 개인 개인에게 중요한 네트워크로 작용한다는 이야기도 했다.
그는 자신의 과거 이야기를 예시로 들었다. 자신도 게임에 '과몰입'을 했었다는 것. 부모님과 싸우기도 했다. 자신은 공부를 못하는데, 부모님은 기대가 크니 의견이 충돌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에 대해 대도서관은 "우리 집은 가난해서 가진 게 없었고, 내 욕구는 아무것도 충족되지 않았다. 그때 내가 고를 것은 결국 게임 뿐이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단순히 우리가 돈이 있다 없다가 아닌 아이한테 지금 우리가 해줄 수 있는 게 있냐 없냐와 관련해 심도 있게 이야기를 나눈 뒤 '게임 중독'과 관련한 판단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말로 발언을 마무리했다.
대도서관은 우리가 무작정 아이들의 게임을 막을 게 아니라 심도 깊은 대화를 나눠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이들은 자신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수단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었다.
한편 이날 토론 패널로는 '엉클대도' 대표이사이자 크리에이터인 대도서관(나동현),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 노성원 한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그리고 김윤경 인터넷 스마트폰과의존예방 시민연대 정책국장이 참여했다.
양측의 주장이 팽팽히 맞선 토론이었지만, 김윤경 정책국장의 토론 태도가 좋지 않았다는 비판이 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