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3일(토)

서울대 23인 석학의 한국의 미래 프로젝트 '공존과 지속' 출간

사진 제공 = 민음사


[인사이트] 김소영 기자 = 한국 산업에 '축적'이라는 주요 키워드를 제시했던 서울대 이정동 교수가 총괄한 '공존과 지속: 기술과 함께하는 인간의 미래'가 민음사에서 출간됐다.


권혁주, 김기현, 장대익 교수를 비롯해 서울대학교 이공대·인문사회대 23인의 석학이 합작한 '한국의 미래' 프로젝트가 만 4년 만에 일궈낸 집합 지성의 결실이다.


유전기술·에너지·인공지능·교육의 4대 핵심 분야에서 지금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종합 리포트하며 신기술이 우리 사회에 연착륙하기 위한 '공존과 지속'이라는 방향을 제시한다.


전 세계적으로 신기술의 테스트베드라 불리는 한국.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도입에 적극적인 우리 사회에서는 기술 혁신과 관련된 논쟁이 끊이지 않는다.


두려움과 기대가 공존하는 가운데, 기술결정론을 넘어 방향을 찾고자 서울대 교수진 23명이 '한국의 미래'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유전공학, 신재 생에너지, 인공지능, 새로운 교육미디어라는 네 가지 혁신 사례는 인간 존재에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고, 사회 인프라 전반의 거대한 변화를 수반한다.


사진 제공 = 민음사


기하급수의 속도로 발전하는 기술에 직면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서로 다른 시각을 종합하자 하나의 전망이 떠오른다.


바로 인간과 기술, 과학과 사회가 함께 진화(共進化)해 나간다는 것이다.


유전자를 편집할 수 있는 시대, 시공간을 초월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오늘 에너지시스템이 전환점에 다다른 바로 지금, 바둑의 정석을 함께 쓰는 AI와 바둑기사처럼 우리는 신기술을 활용해 공존의 미래를 설계할 것이다.


"과학은 결국 인간이 만든다."


양자역학의 창시자인 하이젠베르크는 그의 주저 '부분과 전체'의 서두를 이러한 명제로 열었다. 자명하지만 그만큼 잊히기 쉬운 이 명제는 지금 기술의 변화 속도가 임계점에 다다라 사회 전반의 변화가 요구되는 한국 사회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공존과 지속'은 패러다임의 전환기에 시대의 공존과 지속이라는 거대한 공감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