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박아영 기자 = 지난해 군이 야심 차게 미국에서 도입한 아파치 헬기 장비에 결함이 발견되며 '무용지물'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12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이종명 자유한국당 의원이 육군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11월 육군이 실시한 전력화 평가에서 롱보우 레이더의 문제점이 다수 발견됐다.
롱보우 레이더란 아파치 헬기의 핵심 장비인 사격통제 레이더다. 이 장비는 개당 100억원에 달하기 때문에 군은 6개만 구입해 아파치 헬기 6대당 1개꼴로 사용 중이다.
아파치 헬기의 '눈'인 이 장비는 원래는 탐지 범위 12㎞ 안에서 128개의 표적을 동시에 추적할 수 있다.
하지만 육군 전력화 평가 결과, 롱보우 레이더에 결함이 발견됐다. 우선 육상 지역에서 표적을 탐지할 때 거짓 표적이 다수 탐지됐다.
도시 지역 훈련장에서 실시된 '도시지역 항공타격작전 FTX' 결과 실제 표적은 4대에 불과했지만, 롱보우 레이더는 101개 표적을 탐지해 큰 차이가 났다.
또한 산악지역에서는 다수 표적이 동일 표적으로 식별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사격장에서 실시된 '사격통제레이더 전투능력 검증'에 따르면 표적 식별거리 6㎞에서 18대의 표적을 9대로 탐지했고, 3~4㎞에선 18대를 5대로 탐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상 지역에서는 실제 표적이 아예 '파도 물결' 등으로 탐지됐다. 이는 아파치 헬기가 육상 작전용으로 개발됐기 때문에 해상에서는 오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종명 의원은 "육군은 백령도, 연평도 등에서 북한의 공기부양정과 고속침투정을 식별하고 저지하기 위해 아파치 헬기를 도입했다"며 "하지만 이렇게 레이더에 문제가 있다면 활용도가 뚝 떨어진다"고 비판했다.
이에 방위사업청 관계자는 "롱보우 레이더 오류는 현재 미국에서 개선 중"이라며 "해상 버전이 나오면 추가 성능개량 사업으로 재구매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이미 100억원씩을 주고 산 롱보우 레이더를 해상에서도 사용하려면 추가 비용이 더 든다는 것.
여기에 재구매 이전까지는 아파치 헬기를 활용한 육·해·공 합동작전 등의 계획에도 차질이 생길 전망이다.
한편 육군은 서북도서에서 유사시 북한 공기부양정과 고속침투정 및 기갑부대의 활동을 저지하기 위해 1조8400억원을 들여 지난해 아파치 헬기 36대를 도입했다.
롱보우 레이더는 2012년 이명박 정부 당시 '軍 전력화'를 위해 도입이 추진됐고, 2013년 도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