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12일(월)

세월호 참사 당시 군령 어겨가며 '노란 리본' 달았던 해군참모총장

인사이트연합뉴스


[인사이트] 황규정 기자 = 참사 발생 3년 만에 세월호가 긴 여행을 끝내고 뭍으로 올라온 가운데, 참사 당시 현장에 통영함 출동을 지시했던 황기철 전 해군참모총장이 재조명되고 있다.


특히 황 전 총장이 팽목항에서 노란 리본을 달고 다니며 그 누구보다 승객 구조에 힘썼다는 증언이 이어지면서 그의 명예를 회복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2014년 4월 16일 당시 해군참모총장이었던 황기철 제독은 세월호가 진도 맹골수도 앞바다에서 침몰하고 있다는 보고를 받고 곧바로 '통영함'에 현장 출동을 여러 차례 지시한다.


그러나 상부로부터 이미 사고 해역에 여러 구조 함정들이 도착해있다는 이유로 통영함 출항 취소 명령이 내려오자, 황 전 총장은 직접 팽목항으로 향했다. 


인사이트연합뉴스



사실 현행법상 사고 현장은 해경이 진두지휘하기 때문에 황 전 총장에게는 세월호 구조 작전에 지시를 내릴 수 있는 권한이 없었다.


그런데도 황 전 총장은 스무날이 넘도록 팽목항에 머물며 구조 대원들을 독려하고 필요한 지원 조치를 빠르게 도왔다.


이러한 황 전 총장의 진심은 그의 왼쪽 가슴팍에 달려있던 노란 리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군령에 따르면 군복에는 규정된 약장·훈장을 제외하고 다른 부착물을 달 수 없다. 



인사이트연합뉴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황 전 총장은 군인으로서 국민들을 지켜내지 못했다는 죄책감과 세월호 희생자 및 유가족들에 대한 애도를 표현하기 위해 노란 리본을 달았다. 


심지어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팽목항에 내려온 날에도 황 전 총장은 꿋꿋이 노란 리본을 달고 박 전 대통령을 맞았다.



문제는 세월호 참사의 책임자를 문책하는 과정에서 벌어졌다. 통영함이 '방산 비리' 때문에 세월호 구조작전에 투입되지 못했다는 검찰의 수사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로 인해 전·현직 장교들이 무더기로 입건됐고, 해군의 수장이었던 황 전 총장 역시 이를 피해갈 수 없었다. 황 전 총장은 곧바로 출국금지 조치를 당한 뒤 구속 수감됐다.


인사이트연합뉴스


그로부터 2년이 지나서야 황 전 총장은 "범행의 명백한 동기도, 범행을 증명할 증거도 없다"는 재판부의 판단에 따라 1심, 2심, 대법원에서까지 모두 무죄 판결을 받고 풀려난다.



'거물급'을 잡아들이겠다는 검찰의 무리한 표적 수사로 인해 무고했던 수장은 40여 년간 쌓아온 명예를 한순간에 잃어버리고 말았다. 


이에 정부는 지난 1월 황 전 총장에게 보국훈장을 수여한다는 영예수여안을 처리하면서 뒤늦게 황 전 총장의 명예 회복에 나섰다.


그러나 황 전 총장은 무죄 확정 이후 외부와의 접촉을 모두 끊고 중국으로 떠났으며 여전히 한국으로 돌아오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