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정희정 기자 = 96년 전 오늘은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독립운동에 앞장선 유관순 열사가 세상을 떠난 날이다.
지난 1920년 9월 28일 오전 8시 독립운동을 했단 이유로 일제 경찰에 의해 서대문 형무소에 갇힌 유관순 열사가 눈을 감았다. 그의 나이 열 여덟. 아직 피어보지도 못한 꽃은 그렇게 지었다.
유관순 열사는 숨지기 직전까지 계속된 일본 경찰의 가혹한 고문으로 성한 곳이 없었고 심각한 영양실조 상태였다.
이화학당에 다니던 소녀 유관순 열사의 꿈은 조국의 독립이었다. 고등학교 1년 때 친구들과 '5인 결사대'를 만들어 본격적인 독립운동을 시작하는 등 남다른 애국심을 보였다.
지난 1919년 3월 1일, 선생님의 만류에도 학교 담을 넘어 탑골공원으로 향한 유관순 열사.
열 일곱의 나이로 독립운동에 참여한 그는 우렁차게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이후 당시 남대문역(서울역)에서 펼쳐진 만세 시위 운동에도 참가한 유관순 열사의 독립을 향한 의지는 더욱 확고해졌다.
하지만 독립운동이 계속되면서 조선총독부가 임시휴교령을 내렸고 유관순 열사는 고향인 충남 천안으로 내려가게 된다.
같은해 4월 1일 천안에서 독립운동을 추진하던 유관순 열사는 3천명 넘게 모인 군중의 맨 앞에서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이로 인해 유관순 열사는 눈 앞에서 부모님을 잃은 채 헌병대에 끌려가게 된다.
그는 재판을 받으면서도 당당했다. 부당한 조선총독부 법률에 따라 일본 법관의 재판을 받는 것은 부당한 처사라는 것.
"나는 한국 사람이다. 너희들은 우리 땅에 와서 우리 동포들을 수없이 죽이고 나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죽였으니 죄를 지은 자는 바로 너희들"이라며 끝까지 뜻을 굽히지 않았다.
또한 투옥 중에도 아침저녁으로 독립 만세를 외치며 일제에 대항했다. 특히 3.1운동 1주년이 되던 날에는 옥중 만세운동을 일으켰다.
조국의 독립을 위해 조금의 망설임도 없던 그는 심한 고문에 결국 수감 1년 만에 서대문 형무소에서 생을 마감했다.
유관순 열사는 생을 마감한 뒤에도 일제의 만행으로 고통받았다.
일제는 유관순 열사의 시신 인도를 계속해서 거부했고 무려 2주가 지난 뒤 시신을 이화학당에 보내면서 그제서야 장례를 치를 수 있었다. 이 역시 '조용히 장례를 치뤄야 한다'는 조건이었다.
당시 정동교회 김종우 목사의 주례로 조촐한 장례가 치뤄졌다. 학생들과 선생님들은 통곡했다.
처음 이태원 공동묘지에 묻힌 뒤 시신이 사라지는 등 우여곡절을 겪을 유관순 열사는 현재 고향에 가모가 세워진 상태다.
지난 1951년, 그는 숨진 뒤 20년이 지나서야 '순국열사'로 인정됐고, 1962년에야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다.
3남 1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나 꽃다운 나이에 처절하게 생을 마감한 유관순 열사.
독립을 향한 그의 애국심은 현재에도 많은 이들의 가슴을 울리며 본 받아야할 역사 의인으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