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9월 30일(월)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13명이 집단 탈출해 입국한 이유


북한 해외식당 근무 종업원 13명 국내 입국 / 사진제공 = 통일부 

 

북한의 해외식당에서 근무하는 종업원 13명이 집단으로 탈북한 것은 무엇보다 북한 체제에 대한 회의와 남한사회에 대한 동경 때문이라는 게 정부 당국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강도 높은 대북제재와 우리 정부와 미국 등의 독자적인 제재조치로 식당의 영업이 힘들어진 점도 이들의 탈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8일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13명의 집단 탈북과 관련해 "이들 종업원은 해외에서 생활하며 한국의 TV, 드라마, 영화, 인터넷 등을 통해 한국의 실상과 북한 체제선전의 허구성을 알게 됐으며, 최근 집단 탈북을 결심했다고 한다"고 밝혔다.

 

정부의 한 소식통도 "북한 체제에 대한 회의와 남한 사회에 대한 동경이 탈북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해외식당에서 근무하는 종업원은 북한 내에선 중산층 이상으로 출신 성분도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1~2명이 개별적으로 탈북한 사례는 있지만, 이번처럼 집단으로 탈북한 것은 처음이라는 게 정 대변인의 설명이다. 

 


문 닫은 캄보디아 북한 식당 / 사진제공 = 캄보디아한인회 

 

정 대변인은 "한 종업원은 (탈북 이후) '한국에 오는 것에 대해 서로 마음이 통했으며, 누구도 거부하지 않았다'라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이번 집단 탈북은 북한의 외화벌이 일꾼들 사이에 '김정은 체제'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확산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꼽힌다.

 

정 대변인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상황에서 해외 체류하는 북한인들이 집단적으로 탈북해 왔다는 것은 특이한 사례이기 때문에 (언론에) 공개를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은 "이번 사건은 북한 체제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이 가시적으로 표출된 것이자 대북제재에 대한 실질적인 효과라고 볼 수 있다"며 "식당 운영이 잘 안 되는 상황에서 종업원들이 혼란을 느끼고, 본국으로 돌아가기보다는 남한으로 가는 게 낫겠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북한이 외화벌이 목적으로 운영하는 해외식당은 중국과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라오스 등을 중심으로 12개국에서 130여 개 정도가 영업 중이며, 특히 중국에만 100개가 넘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들 식당은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와 우리 정부의 독자 대북제재의 여파로 한국인 손님의 발길이 완전히 끊기면서 영업에 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브리핑하는 통일부 대변인 / 연합뉴스 

 

특히 대북제재의 강력한 이행으로 문을 닫는 북한 해외식당도 속출하고 있어 외화벌이 실적악화에 따른 본국의 압박이 탈북 배경으로 작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해외 식당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은 당성이 아주 높은 사람들로, 단순히 북한 체제에 대한 회의나 남한 사회에 대한 동경보다는 북한 소환 이후의 압박과 두려움 때문에 탈북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라고 밝혔다.

 

양 교수는 "대북제재로 영업이 어려워지자 식당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책임 소재를 가릴 만한 사안, 예를 들면 빚 문제 등이 발견돼 이에 대한 부담 때문에 집단으로 탈출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집단 탈북은 2011년 3월에 9명의 탈북민이 국내 입국한 이후 5년 만에 처음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이번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집단 탈북에 대해 '기획탈북' 혹은 '납치'라고 주장하며 반발할 가능성도 있다.

 

문성묵 통일전략센터장은 "북한은 이에 대해 '납치'라고 주장하며 종업원들을 즉각 돌려달라고 나올 가능성이 있다"며 "또한 북중 접경 또는 남북 접경 지역에 있는 우리 국민에 대한 납치 시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