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황규정 기자 = 북한이 6차례나 핵실험을 가동하면서 인공지진이 발생하자, 이 여파로 백두산 분화가 앞당겨 질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5일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홍태경 교수는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백두산은 매우 강력한 활화산"이라고 지적하며 "추가적인 핵실험으로 인해 백두산 분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3일 북한이 핵실험으로 사용하고 있는 풍계리에서 자연 지진이 일어났다.
5차례의 핵실험에도 끄떡없던 풍계리가 6번째 핵실험 이후 규모 2.6, 규모 3.2 정도의 자연 지진이 잇따라 3차례나 발생한 것이다.
게다가 발생 지역은 핵실험이 이뤄졌던 지점에서 북서쪽으로 6km 떨어진 곳이었다.
전문가들은 그동안 진행됐던 핵실험의 여파로 주변 지층이 약화되면서 지진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를 두고 홍 교수는 풍계리 지진이 거대한 마그마 방을 품고 있는 백두산 지하에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봤다.
풍계리로부터 1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백두산 지하에는 40km 영역까지 마그마방이 퍼져있다.
때문에 지반을 약하게 하는 핵실험의 충격이 백두산까지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홍 교수는 "지진파가 들어가면 액체 상태인 마그마 방 입자를 자극하게 되고, 입자의 진동을 일으키게 된다"며 "이때 기포가 만들어지는데, 이것이 마그마와 함께 상승하면서 화산 분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인공 지진으로 화산 분화가 일어날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반론도 제기됐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윤수 박사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전문가마다 견해가 다르지만 지질학 분야는 선레를 중시한다"며 "인공지진으로 화산분화가 일어난 전례는 없다"고 밝혔다.
1972년 미국 알래스카 알루션 열도에서 북한 핵실험의 수백 배가 넘는 지진규모 7.4의 핵실험이 수행됐지만, 근처 60~80km 떨어진 해저 화산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박사는 "인공지진이 분화를 유발한 증거는 아직까지 찾지 못했다"며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 낮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