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이별님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총리에게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해 국가 간의 합의가 됐지만, 피해자 개인의 피해보상 청구는 남아있다고 밝혔다.
25일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에 따르면 이날 오전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약 30분간 전화 통화를 가졌다.
이날 통화 말미에 아베 총리는 "문 대통령의 지난번 징용 노동자 발언에 대해 일본 국민들의 걱정이 많다"면서 강제징용 문제를 먼저 언급했다.
이는 지난 17일 문 대통령이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개인 청구권이 있다고 언급한 데 대한 항의로 보인다.
이에 문 대통령은 "강제징용과 관련해 참여 정부 시절 한일회담에서 해결이 됐지만, 우리 대법원은 피해자와 미쓰비시 등 (전범) 기업 사이의 개인적 청구권까지는 해결이 안 됐다고 판결했다"고 못 박았다.
문 대통령의 말을 들은 아베 총리는 "상황을 잘 관리하면서 성숙한 관계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도 "이 문제가 양국의 미래지향적 발전에 걸림돌이 안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박수현 대변인은 양국 정상의 통화가 끝난 뒤 브리핑에서 "양국이 강제징용 문제 등 역사 문제를 잘 관리하면서 미래 지향적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는데 인식을 함께 했다"고 밝혔다.
'강제징용' 문제를 언급한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통화 내용에 일본의 주요 매체들의 관심이 일제히 쏠렸다.
마이니치 신문과 요미우리 신문 등 일본 매체들은 아베 총리가 "강제징용 문제는 이미 해결됐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문 대통령이 강력히 반발했다고 전했다.
특히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문 대통령이 역대 한국 정권 중 처음으로 '한국인의 개인 청구권이 소멸하지 않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평가해 눈길을 끌었다.
한편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은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 강경한 태도를 보였던 문재인 정부에 항의하는 차원으로 한국에서 열리는 국제회의에 불참하기로 했다.
강제징용 문제 등 역사 문제를 둘러싼 한일 양국의 신경전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별님 기자 byul@insight.co.kr